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벡터와 행렬에 관련된 그림들

회귀분석을 위한 주가데이터 만들기_DayInInterRetStockS 해설

일일주가 데이터에서 지정한 열을 기준으로 일중 수익률, 일간 수익률, 그리고 지정한 일전(preday)의 자료와 결합합니다.
목표한 자료를 위해 사용자 정의 클래스를 작성하였습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import copy

class DayInInterRetStockS:
    def __init__(self, da):
        self.da=da
        self.nme=[i for i in self.da.columns]
    def InRetS(self, DeColN):
        nme0=copy.deepcopy(self.nme)
        nme1=self.nme[DeColN]
        del(nme0[DeColN]) 
        nme2=[ ]
        for i in nme0:
            nme2.append(nme1+":"+i+":ret")
            m=0
        re=pd.DataFrame()
        for j in nme0:
            re[nme2[m]]=(self.da[nme1]-self.da[j])/ self.da[j] *100
            m=m+1
        self.Inday=re.drop(nme2[len(nme2)-1], axis=1)
        return(self.Inday)
    def IntRetS(self, Int=1):
        nme1=[i+':intRet' for i in self.nme]
        self.intrad=((self.da-self.da.shift(Int))/self.da.shift(Int)*100)
        self.intrad.columns=nme1
        return(self.intrad)
    def ShiftdS(self, int=3):
        self.d=self.da.shift(int)
        self.d.columns=['olag','hlag','llag','clag','vlag']
        return(self.d)

클래스 객체를 만들기 위해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으로 구성되어 있는 원 객체를 전달하여야 합니다.

>>> kl_da=DayInInterRetStockS(kl1)
종가를 기준으로 일중, 일간 수익률을 계산합니다.
>>> kl_cpIn=kl_da.InRetS(3)
>>> kl_cpIn.head(1)
                              Close:Open:ret  Close:High:ret  Close:Low:ret
2017-09-20 15:30:00       -0.444708       -1.409278       0.629308
일간수익률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당일을 기준으로 얼마전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할지를 정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Int라는 매개변수에 인수를 전달합니다. 기본값은 1입니다.
당일을 기준으로 그 이전의 값들은 계산되지 않습니다.
>>> kl_cpInt=kl_da.IntRetS(2)
>>> kl_cpInt.head(3)
Out[180]:
                     Open:intRet  High:intRet  Low:intRet  Close:intRet  \
2017-09-20 15:30:00          NaN          NaN         NaN           NaN 
2017-09-21 15:30:00          NaN          NaN         NaN           NaN 
2017-09-22 15:30:00    -0.652238    -0.939518   -1.048846     -1.220965 

                     Volume:intRet
2017-09-20 15:30:00            NaN
2017-09-21 15:30:00            NaN
2017-09-22 15:30:00        15.1339

마지막으로 당일을 기준으로 몇일전의 자료를 당일과 같은 행으로 할지를 정해야 합니다. 이것은 ShiftS() 메소드에 의해 계산됩니다.

>>> kl_cpShift=kl_da.ShiftdS()
>>> kl_cpShift.head(4)

                        olag     hlag     llag     clag        vlag
2017-09-20 15:30:00      NaN      NaN      NaN      NaN         NaN
2017-09-21 15:30:00      NaN      NaN      NaN      NaN         NaN
2017-09-22 15:30:00      NaN      NaN      NaN      NaN         NaN
2017-09-25 15:30:00  16865.0  17030.0  16685.0  16790.0  13680836.0

위의 결과와 원 결과를 모두 결합하여 최종 사용할 자료를 생성하기 위해 다음 사용자 정의 함수를 작성합니다.

def InInterShiftS(da, DeColN, inter=1, shiftd=3):
    d=DayInInterRetStockS(da)
    din=d.InRetS(DeColN)
    dinter=d.IntRetS(inter)
    dshift=d.ShiftdS(shiftd)
    tot=pd.concat([da, din, dinter, dshift], axis=1)
    tot1=tot.dropna()
    return(tot1) 

>>> da=InInterShiftS(kl1, 3)
>>> da.head(1)
                      Open   High    Low  Close   Volume  Close:Open:ret  \
2017-09-25 15:30:00  16600  16650  16490  16575  9337207       -0.150602 

                     Close:High:ret  Close:Low:ret  Open:intRet  High:intRet  \
2017-09-25 15:30:00        -0.45045       0.515464    -0.925097     -1.30409 

                     Low:intRet  Close:intRet  Volume:intRet     olag  \
2017-09-25 15:30:00   -0.121139     -0.060295     -40.720964  16865.0 

                        hlag     llag     clag        vlag
2017-09-25 15:30:00  17030.0  16685.0  16790.0  13680836.0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ear Algebra]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행렬(similarity matrix)이 되며 행렬 A를 가역행렬 P와 B로 분해하는 것을 유사 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이라고 합니다. $$\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 식 2는 식 1의 양변에 B의 고유값을 고려한 것입니다. \begin{align}\tag{식 2}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식 2의 행렬식은 식 3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extsf{det}(I)\end{aligned}\end{align} 유사행렬의 특성 유사행렬인 두 정방행렬 A와 B는 'A ~ B' 와 같...

[sympy] Sympy객체의 표현을 위한 함수들

Sympy객체의 표현을 위한 함수들 General simplify(x): 식 x(sympy 객체)를 간단히 정리 합니다. import numpy as np from sympy import * x=symbols("x") a=sin(x)**2+cos(x)**2 a $\sin^{2}{\left(x \right)} + \cos^{2}{\left(x \right)}$ simplify(a) 1 simplify(b) $\frac{x^{3} + x^{2} - x - 1}{x^{2} + 2 x + 1}$ simplify(b) x - 1 c=gamma(x)/gamma(x-2) c $\frac{\Gamma\left(x\right)}{\Gamma\left(x - 2\right)}$ simplify(c) $\displaystyle \left(x - 2\right) \left(x - 1\right)$ 위의 예들 중 객체 c의 감마함수(gamma(x))는 확률분포 등 여러 부분에서 사용되는 표현식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 됩니다. 감마함수는 음이 아닌 정수를 제외한 모든 수에서 정의됩니다. 식 1과 같이 자연수에서 감마함수는 factorial(!), 부동소수(양의 실수)인 경우 적분을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tag{식 1}\Gamma(n) =\begin{cases}(n-1)!& n:\text{자연수}\\\int^\infty_0x^{n-1}e^{-x}\,dx& n:\text{부동소수}\end{cases}$$ x=symbols('x') gamma(x).subs(x,4) $\displaystyle 6$ factorial 계산은 math.factorial()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port math math.factorial(3) 6 a=gamma(x).subs(x,4.5) a.evalf(3) 11.6 simpilfy() 함수의 알고리즘은 식에서 공통사항을 찾아 정리하...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대수 방정식을 해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 함수를 사용합니다. sympy.solvers.solve(f, *symbols, **flags) f=0, 즉 동차방정식에 대해 지정한 변수의 해를 계산 f : 식 또는 함수 symbols: 식의 해를 계산하기 위한 변수, 변수가 하나인 경우는 생략가능(자동으로 인식) flags: 계산 또는 결과의 방식을 지정하기 위한 인수들 dict=True: {x:3, y:1}같이 사전형식, 기본값 = False set=True :{(x,3),(y,1)}같이 집합형식, 기본값 = False ratioal=True : 실수를 유리수로 반환, 기본값 = False positive=True: 해들 중에 양수만을 반환, 기본값 = False 예 $x^2=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식의 한쪽이 0이 되는 형태인 동차식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x^2-1=0$$ import numpy as np from sympy import * x = symbols('x') solve(x**2-1, x) [-1, 1] 위 식은 계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begin{aligned}x^2-1=0 \rightarrow (x+1)(x-1)=0 \\ x=1 \; \text{or}\; -1\end{aligned}$$ 예 $x^4=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의 인수 set=True를 지정하였으므로 결과는 집합(set)형으로 반환됩니다. eq=x**4-1 solve(eq, set=True) ([x], {(-1,), (-I,), (1,), (I,)}) 위의 경우 I는 복소수입니다.즉 위 결과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x^4-1=(x^2+1)(x+1)(x-1)=0 \rightarrow x=\pm \sqrt{-1}, \; \pm 1=\pm i,\; \pm1$$ 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