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미분과 적분
R에서의 미분과 적분 함수는 expression()함수에 의해 생성된 표현식을 대상으로 합니다.expression
expression(문자, 또는 식)
이 표현식의 평가는 eval() 함수에 의해 실행됩니다.
> ex1<-expression(1+0:9) > ex1 expression(1 + 0:9) > eval(ex1) [1] 1 2 3 4 5 6 7 8 9 10 > ex2<-expression(u, 2, u+0:9) > ex2 expression(u, 2, u + 0:9) > ex2[1] expression(u) > ex2[2] expression(2) > ex2[3] expression(u + 0:9) > u<-0.9 > eval(ex2[3]) [1] 0.9 1.9 2.9 3.9 4.9 5.9 6.9 7.9 8.9 9.9
미분
D(표현식, 미분 변수)함수로 미분을 실행합니다. 이 함수의 표현식은 expression() 함수로 생성된 객체이며 미분 변수는 다음 식의 분모의 변수를 의미합니다.
$$\frac{d}{d \text{변수}}\text{표현식}$$
이 함수는 어떤 함수의 미분의 결과를 표현식으로 반환합니다.
> D(expression(2*x^3), "x") 2 * (3 * x^2) > eq<-expression(log(x)) > eq expression(log(x)) > D(eq, "x") 1/x > eq2<-expression(a/(1+b*exp(-d*x))); eq2 expression(a/(1 + b * exp(-d * x))) > D(eq2, "x") a * (b * (exp(-d * x) * d))/(1 + b * exp(-d * x))^2 > a<-3; b<-2; d<-1; x<-3 > eval(D(eq2, 'x')) [1] 0.2470693실제 값의 계산을 위해서는 deriv() 함수를 이용한다.
- deriv(expression, 변수, function.arg=NULL)
- expression식이 아닌 직접식으로 나타낼 경우 tilt(~)와 함께 나타냅니다. deriv(expression(x^2,...) =derive(~x^2, ...)
- 이 함수의 3번째 인수를 function.arg=True로 지정할 경우 미분된 결과를 함수로 반환하므로 직접적인 수치해석이 가능합니다. 이 인수는 func=T로 간단히 표기할 수 있습니다.
> g <- deriv(~ exp(-x^2), "x")
> g
expression({
.expr3 <- exp(-x^2)
.value <- .expr3
.grad <- array(0, c(length(.value), 1L), list(NULL, c("x")))
.grad[, "x"] <- -(.expr3 * (2 * x))
attr(.value, "gradient") <- .grad
.value
})
> g(2)
g(2)에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함수 "g"를 찾을 수 없습니다
> g <- deriv(~exp(-x^2), "x", function.arg=TRUE)
> g
function (x)
{
.expr3 <- exp(-x^2)
.value <- .expr3
.grad <- array(0, c(length(.value), 1L), list(NULL, c("x")))
.grad[, "x"] <- -(.expr3 * (2 * x))
attr(.value, "gradient") <- .grad
.value
}
> g(2)
[1] 0.01831564 #원 함수 값 exp(-4)
attr(,"gradient")
x
[1,] -0.07326256 #미분된 함수의 값 -(2*2)exp(-4)
> g(seq(1, 2, 0.2))
[1] 0.36787944 0.23692776 0.14085842 0.07730474 0.03916390 0.01831564
attr(,"gradient")
x
[1,] -0.73575888
[2,] -0.56862662
[3,] -0.39440358
[4,] -0.24737517
[5,] -0.14099002
[6,] -0.07326256
> g <- deriv(expression(exp(-x^2)), "x", function.arg=TRUE)
> g(2)
[1] 0.01831564
attr(,"gradient")
x
[1,] -0.07326256
예)
$f(w)=7\log(w)+3\log(1-w)$를 미분하고 w=0.1, 0.2에서의 미분값을 결정합니다.
> f<-expression(7*log(w)+3*log(1-w))
> df<-D(f, 'w') ; df
7 * (1/w) - 3 * (1/(1 - w))
> w<-c(0.1, 0.2)
> eval(df)
[1] 66.66667 31.25000
> derf<-deriv(f, 'w', function.arg=TRUE);derf
function (w)
{
.expr3 <- 1 - w
.value <- 7 * log(w) + 3 * log(.expr3)
.grad <- array(0, c(length(.value), 1L), list(NULL, c("w")))
.grad[, "w"] <- 7 * (1/w) - 3 * (1/.expr3)
attr(.value, "gradient") <- .grad
.value
}
> derf(c(0.1, 0.2))
[1] -16.43418 -11.93550
attr(,"gradient")
w
[1,] 66.66667
[2,] 31.25000
2차 미분
D()함수는 1차 미분을 실행합니다. 2차 이상의 미분을 시행하기 위해 D()함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사용자 정의함수를 작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dHigh<-function(expr, name, order=1){
if (order<1) stop('order should be more than 1.')
if (order==1) D(expr, name)
else dHigh(D(expr, name), name, order-1)
}
> eq<-expression(x^4) > dHigh(eq, 'x') 4 * x^3 > dHigh(eq, 'x', 2) 4 * (3 * x^2) > dHigh(eq, 'x', 3) 4 * (3 * (2 * x))
mosaic를 사용한 미분
mosaic 라이브러리의 미분과 적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mosaicCalc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합니다.D(식~변수) 함수를 사용합니다.
> f=D(A*x^2*sin(y)~x) > f function (x, y, A) 2 * A * x * sin(y) > f(3,2,1) [1] 5.455785 > plotFun(f(A=2, y=3, x=x)~x, x.lim=range(1,10))이 함수의 인수인 변수를 입력하는 횟수에 따라 고차 미분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D(x^4~x) function (x) 4 * x^3 > D(x^4~x+x+x) function (x) 24 * x > D(x^4~x+x+x+x) function (x) 24 > D(x^4~x+x+x+x+x) function (x) 0
적분
R에서 정적분은integrate(함수) 함수를 사용합니다. 인수로서 함수는 function()으로 생성된 함수이어야 합니다.
> f<-function(x){
+ return(2*x-x^2)}
> integrate(f, 0, 3)
1.665335e-16 with absolute error < 3e-14
편적분을 위해서는 cubature 라이브러리의 adaptIntegrate()를 사용한다.
부정적분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기호를 변수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는 라이브러리 mosaic와 mosaicCalc의 함수 antiD() 함수를 사용합니다.
> F<-antiD(a*x^2~x, a=1)
> F
function (x, a = 1, C = 0)
(x^3 * a)/3 + C
> F(3)-F(1)
[1] 8.666667
> P=antiD(exp(x^2)~x);P
function (x, C = 0)
{
F <- makeF(exp(x^2))
evalFun(F, x = x, .const = C)
}
> P(3)-P(1)
[1] 1443.082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