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L] 결정트리(Decision Tree) 모델

[data analysis] 설명변수의 거듭제곱의 영향

설명변수의 거듭제곱의 영향

다음은 특정기간의 kospi 자료로 Open을 설명변수로 Close를 반응변수로 회귀모델을 생성한 것입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from sklearn import preprocessing
from sklearn.linear_model import LinearRegression
from sklearn.metrics import mean_squared_error
import yfinance as yf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st=pd.Timestamp(2024,1, 10)
et=pd.Timestamp(2024, 5, 30)
kos=yf.download("^KS11",st, et)[["Open","Close"]]
kos.head(3)
Open Close
Date
2024-01-10 2563.969971 2541.979980
2024-01-11 2543.030029 2540.270020
2024-01-12 2536.550049 2525.050049

위 자료의 설명변수를 표준화하고 sklearn.linear_model.LinearRegression() 클래스를 적용하여 회귀모델을 생성합니다.

ind=kos.iloc[:-1, [0]]
de=kos.iloc[1:, 1]
scale=preprocessing.StandardScaler().fit(ind)
indN=scale.transform(ind)
indN[:3]
array([[-0.99893096],
       [-1.24235095],
       [-1.31767861]])
mod=LinearRegression().fit(indN, de)
print(f"coef: {mod.coef_.round(2)}\nintercept: {mod.intercept_.round(2)}\nR2: {mod.score(X, y).round(4)}")
coef: [80.45]
intercept: 2649.05
R2: -1101.9856
ypre=mod.predict(indN)
mse=mean_squared_error(de, ypre)
mse.round(2)
859.69

설명변수를 거듭제곱로 조정하여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plt.subplot(3,3,1)
plt.scatter(indN, de)
plt.plot(indN, ypre, color="r")
X=indN.copy()
MSE=[mse.round(2)]
for i in range(2, 7):
    X=np.c_[X, X**i]
    m=LinearRegression().fit(X, de)
    pre=m.predict(X)
    MSE.append(mean_squared_error(de, pre))
    plt.subplot(2, 3, i)
    plt.scatter(indN, de)
    plt.plot(indN, pre, color="r", label=f"이전 객체+X^{i}")
    plt.yticks([])
    plt.legend(loc="upper left")
plt.show()
MSE
[859.69,
 855.8761880159284,
 816.1122800091756,
 758.2788464442476,
 6993.46124159978,
 6993.47288858269]

위 결과와 같이 설명변수의 조정으로 선형모델은 비선형으로 변형되면서 모형 생성에 참여한 데이터에 충실한 방향으로 접근합니다. 그러나 한계가 존재하며 그 이상의 경우 모델의 효용은 급격히 감소됩니다. 또한 훈련데이터에 대한 모델의 충실도가 증가할수록 새로운 데이터에 대해 둔감해지는 경향을 보이는 과적합(overfit)을 보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ear Algebra]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행렬(similarity matrix)이 되며 행렬 A를 가역행렬 P와 B로 분해하는 것을 유사 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이라고 합니다. $$\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 식 2는 식 1의 양변에 B의 고유값을 고려한 것입니다. \begin{align}\tag{식 2}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식 2의 행렬식은 식 3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extsf{det}(I)\end{aligned}\end{align} 유사행렬의 특성 유사행렬인 두 정방행렬 A와 B는 'A ~ B' 와 같

[matplotlib]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Histogram) 히스토그램은 확률분포의 그래픽적인 표현이며 막대그래프의 종류입니다. 이 그래프가 확률분포와 관계가 있으므로 통계적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plt.hist(X, bins=10)함수를 사용합니다. x=np.random.randn(1000) plt.hist(x, 10) plt.show() 위 그래프의 y축은 각 구간에 해당하는 갯수이다. 빈도수 대신 확률밀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위 함수의 매개변수 normed=True로 조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매개변수 bins의 인수를 숫자로 전달할 수 있지만 리스트 객체로 지정할 수 있다. 막대그래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막대의 폭은 매개변수 width에 의해 조정된다. y=np.linspace(min(x)-1, max(x)+1, 10) y array([-4.48810153, -3.54351935, -2.59893717, -1.65435499, -0.70977282, 0.23480936, 1.17939154, 2.12397372, 3.0685559 , 4.01313807]) plt.hist(x, y, normed=True) plt.show()

R 미분과 적분

내용 expression 미분 2차 미분 mosaic를 사용한 미분 적분 미분과 적분 R에서의 미분과 적분 함수는 expression()함수에 의해 생성된 표현식을 대상으로 합니다. expression expression(문자, 또는 식) 이 표현식의 평가는 eval() 함수에 의해 실행됩니다. > ex1<-expression(1+0:9) > ex1 expression(1 + 0:9) > eval(ex1) [1] 1 2 3 4 5 6 7 8 9 10 > ex2<-expression(u, 2, u+0:9) > ex2 expression(u, 2, u + 0:9) > ex2[1] expression(u) > ex2[2] expression(2) > ex2[3] expression(u + 0:9) > u<-0.9 > eval(ex2[3]) [1] 0.9 1.9 2.9 3.9 4.9 5.9 6.9 7.9 8.9 9.9 미분 D(표현식, 미분 변수) 함수로 미분을 실행합니다. 이 함수의 표현식은 expression() 함수로 생성된 객체이며 미분 변수는 다음 식의 분모의 변수를 의미합니다. $$\frac{d}{d \text{변수}}\text{표현식}$$ 이 함수는 어떤 함수의 미분의 결과를 표현식으로 반환합니다. > D(expression(2*x^3), "x") 2 * (3 * x^2) > eq<-expression(log(x)) > eq expression(log(x)) > D(eq, "x") 1/x > eq2<-expression(a/(1+b*exp(-d*x))); eq2 expression(a/(1 + b * exp(-d * x))) > D(eq2, "x") a * (b * (exp(-d * x) * d))/(1 +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