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atplotlib]quiver()함수

boxplot과 사분위수

box plot

중간값, 사분위수, 최대값, 최소값을 나타냅니다.
사분위수 (Q4)는 25%, 50%, 75%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값을 나타냅니다.

Q1 : 25%에 해당하는 값
Q2 : 50%에 해당하는 값
Q3: 75%에 해당하는 값

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 여러 위치에서의 값을 계산하기 위한 함수로 두가지를 적용할 수 있다. 
np.percentile(obj, q, axis=None)
pd객체.quantile(q=0.5, axis=0)

>>> import random
>>> import numpy as np
>>> import pandas as pd
>>>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d=np.random.randn(100)
>>> quant=np.percentile(d, [1, 25, 50, 75, 99])
>>> d_df=pd.DataFrame(d)
>>> quant_pd=d_df.quantile([0.01, 0.25, 0.5, 0.75, 0.99])
>>> quant
array([-2.07556171, -0.68066232,  0.13129747,  0.74443201,  2.22612439])

>>> quant_pd
             0
0.01 -2.075562
0.25 -0.680662
0.50  0.131297
0.75  0.744432
0.99  2.226124

>>> np.mean(d) #평균값 
 0.062143098969234777

위의 사항을 그래프로 그리기 위해 상자 그림(box plot)을 적용합니다. 

위 상자 그래프의 붉은 선은 데이터의 평균을 나타냅니다.
박스는 Q1 <= value <=Q3
하한 꼬리  values <= Q1
상한 꼬리  values >= Q3
만약사분위수의 범위 밖에 놓인 값들은 상한 또는 하한 꼬리 밖에 다른 기호('+')로 표시됩니다.

여러 열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경우 각 열에 대한 상자 그래프를 한 그림으로 나타냅니다.

>>> d=np.random.randn(100, 5)
>>> quant=np.percentile(d, [1, 25, 50, 75, 99], axis=0)
>>> d_df=pd.DataFrame(d)
>>> quant_pd=d_df.quantile([0.01, 0.25, 0.5, 0.75, 0.99], axis=0)
>>> quant
array([[-2.03436223, -2.34074921, -2.41527064, -1.92245118, -2.11524036],
       [-0.50685564, -0.93960178, -0.88419683, -0.32447958, -0.89025227],
       [ 0.13300156, -0.04173886, -0.09255196,  0.25337128, -0.19390771],
       [ 0.74933145,  0.43231908,  0.60672149,  0.7233356 ,  0.68667474],
       [ 1.92347734,  1.9740066 ,  2.86430905,  2.08295018,  2.57055993]])

>>> quant_pd
             0         1         2         3         4
0.01 -2.034362 -2.340749 -2.415271 -1.922451 -2.115240
0.25 -0.506856 -0.939602 -0.884197 -0.324480 -0.890252
0.50  0.133002 -0.041739 -0.092552  0.253371 -0.193908
0.75  0.749331  0.432319  0.606721  0.723336  0.686675
0.99  1.923477  1.974007  2.864309  2.082950  2.570560

>>> plt.boxplot(d)
>>> plt.show()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ear Algebra]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행렬(similarity matrix)이 되며 행렬 A를 가역행렬 P와 B로 분해하는 것을 유사 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이라고 합니다. $$\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 식 2는 식 1의 양변에 B의 고유값을 고려한 것입니다. \begin{align}\tag{식 2}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식 2의 행렬식은 식 3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extsf{det}(I)\end{aligned}\end{align} 유사행렬의 특성 유사행렬인 두 정방행렬 A와 B는 'A ~ B' 와 같...

[sympy] Sympy객체의 표현을 위한 함수들

Sympy객체의 표현을 위한 함수들 General simplify(x): 식 x(sympy 객체)를 간단히 정리 합니다. import numpy as np from sympy import * x=symbols("x") a=sin(x)**2+cos(x)**2 a $\sin^{2}{\left(x \right)} + \cos^{2}{\left(x \right)}$ simplify(a) 1 simplify(b) $\frac{x^{3} + x^{2} - x - 1}{x^{2} + 2 x + 1}$ simplify(b) x - 1 c=gamma(x)/gamma(x-2) c $\frac{\Gamma\left(x\right)}{\Gamma\left(x - 2\right)}$ simplify(c) $\displaystyle \left(x - 2\right) \left(x - 1\right)$ 위의 예들 중 객체 c의 감마함수(gamma(x))는 확률분포 등 여러 부분에서 사용되는 표현식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 됩니다. 감마함수는 음이 아닌 정수를 제외한 모든 수에서 정의됩니다. 식 1과 같이 자연수에서 감마함수는 factorial(!), 부동소수(양의 실수)인 경우 적분을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tag{식 1}\Gamma(n) =\begin{cases}(n-1)!& n:\text{자연수}\\\int^\infty_0x^{n-1}e^{-x}\,dx& n:\text{부동소수}\end{cases}$$ x=symbols('x') gamma(x).subs(x,4) $\displaystyle 6$ factorial 계산은 math.factorial()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port math math.factorial(3) 6 a=gamma(x).subs(x,4.5) a.evalf(3) 11.6 simpilfy() 함수의 알고리즘은 식에서 공통사항을 찾아 정리하...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대수 방정식을 해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 함수를 사용합니다. sympy.solvers.solve(f, *symbols, **flags) f=0, 즉 동차방정식에 대해 지정한 변수의 해를 계산 f : 식 또는 함수 symbols: 식의 해를 계산하기 위한 변수, 변수가 하나인 경우는 생략가능(자동으로 인식) flags: 계산 또는 결과의 방식을 지정하기 위한 인수들 dict=True: {x:3, y:1}같이 사전형식, 기본값 = False set=True :{(x,3),(y,1)}같이 집합형식, 기본값 = False ratioal=True : 실수를 유리수로 반환, 기본값 = False positive=True: 해들 중에 양수만을 반환, 기본값 = False 예 $x^2=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식의 한쪽이 0이 되는 형태인 동차식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x^2-1=0$$ import numpy as np from sympy import * x = symbols('x') solve(x**2-1, x) [-1, 1] 위 식은 계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begin{aligned}x^2-1=0 \rightarrow (x+1)(x-1)=0 \\ x=1 \; \text{or}\; -1\end{aligned}$$ 예 $x^4=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의 인수 set=True를 지정하였으므로 결과는 집합(set)형으로 반환됩니다. eq=x**4-1 solve(eq, set=True) ([x], {(-1,), (-I,), (1,), (I,)}) 위의 경우 I는 복소수입니다.즉 위 결과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x^4-1=(x^2+1)(x+1)(x-1)=0 \rightarrow x=\pm \sqrt{-1}, \; \pm 1=\pm i,\; \pm1$$ 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