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atplotlib]quiver()함수

pie chart, histograms, box plot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rom pandas_datareader import data, wb
import pandas_datareader.data as web

- Pie chart

pie chart는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각 원소가 차지하는 백분율 만큼의 영역을 표시한다. 

data = [5, 20, 50, 100]
plt.pie(data)
plt.show()

- Histograms 

히스토그램은 데이터내에 함의되는 확률 분포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한다. 즉, 전체데이터를 지정한 구간 만큼 구분하여 각 구간에 속하는 데이터의 원소들의 빈도수를 계산하여 막대그래프 형태로 보여준다. 
.hist(객체, bins) bins=10이 디폴트 
다음의 예는 임의적으로 추출한 1000의 값들을 20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였을 경우 
각 구간에 들어가는 원소들의 수를 나타낸다. 
x=np.random.randn(1000)
print(x[:100])
plt.hist(x, bins=20)
plt.show()


startD=datetime(2010, 1, 1)
endD=datetime(2017, 3, 31)
k=web.DataReader("KRX:kospi", "google", startD,  endD)

plt.hist(k['Close'], bins=20)
plt.show()

위 결과로 나타내는 그림에서 각 구간과 그 구간에 해당하는 값을 반환할 수 있다. 
value=plt.hist(k['Close'], bins=20)
print(value[0])
[   6.   17.   23.   29.   37.   45.   46.   41.   69.  100.  159.  219.
  285.  274.  204.  109.   62.   39.   17.    8.]
print(value[1])
[ 1552.79    1586.5985  1620.407   1654.2155  1688.024   1721.8325
  1755.641   1789.4495  1823.258   1857.0665  1890.875   1924.6835
  1958.492   1992.3005  2026.109   2059.9175  2093.726   2127.5345
  2161.343   2195.1515  2228.96  ]

-Boxplot

객체의 중간값, 최대, 최소값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plt.boxplot(k['Close'])
plt.show()

위 결과는 수치로 나타내지 않는다. 이 경우 각 객체의 지정된 비율에 해당하는 값은
np.percentile(), 또는 pd.qunatile()을 사용할 수 있다. 
x=range(0, 110, 10)
print([np.percentile(k['Close'], i) for i in x])
[1552.79, 1775.692, 1875.4859999999999, 1918.654, 1948.2239999999999, 1971.3199999999999, 1992.106, 2011.6420000000003, 2037.1219999999998, 2073.4880000000003, 2228.96]
print(k.quantile([0, 0.25, 0.50, 0.75, 1], axis=0))
         Open     High      Low    Close        Volume
0.00  1550.80  1566.30  1532.68  1552.79  1.688330e+08
0.25  1901.20  1912.24  1888.94  1900.85  3.007850e+08
0.50  1973.67  1981.49  1964.12  1971.32  3.586840e+08
0.75  2023.18  2030.85  2015.30  2024.69  4.284570e+08
1.00  2225.95  2231.47  2202.92  2228.96  1.209791e+09

matplotlib는 np 구조의 데이터를 기본으로 한다. 
그러므로 여러 변수그룹들에 대한 boxplot을 한 그래프에 나타내기 위해서는 
np 구조로 만들어 주어야 한다. 
위에서 인스톨한 패키지에 의해 웹으로 부터 호출한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pandas DataFrame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다음의 코딩에 의해 np 구조로 전환해 주어야 한다. 
k1=np.array(k.ix[:,range(4)])
plt.boxplot(k1)
plt.show()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ear Algebra]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행렬(similarity matrix)이 되며 행렬 A를 가역행렬 P와 B로 분해하는 것을 유사 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이라고 합니다. $$\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 식 2는 식 1의 양변에 B의 고유값을 고려한 것입니다. \begin{align}\tag{식 2}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식 2의 행렬식은 식 3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extsf{det}(I)\end{aligned}\end{align} 유사행렬의 특성 유사행렬인 두 정방행렬 A와 B는 'A ~ B' 와 같...

[sympy] Sympy객체의 표현을 위한 함수들

Sympy객체의 표현을 위한 함수들 General simplify(x): 식 x(sympy 객체)를 간단히 정리 합니다. import numpy as np from sympy import * x=symbols("x") a=sin(x)**2+cos(x)**2 a $\sin^{2}{\left(x \right)} + \cos^{2}{\left(x \right)}$ simplify(a) 1 simplify(b) $\frac{x^{3} + x^{2} - x - 1}{x^{2} + 2 x + 1}$ simplify(b) x - 1 c=gamma(x)/gamma(x-2) c $\frac{\Gamma\left(x\right)}{\Gamma\left(x - 2\right)}$ simplify(c) $\displaystyle \left(x - 2\right) \left(x - 1\right)$ 위의 예들 중 객체 c의 감마함수(gamma(x))는 확률분포 등 여러 부분에서 사용되는 표현식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 됩니다. 감마함수는 음이 아닌 정수를 제외한 모든 수에서 정의됩니다. 식 1과 같이 자연수에서 감마함수는 factorial(!), 부동소수(양의 실수)인 경우 적분을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tag{식 1}\Gamma(n) =\begin{cases}(n-1)!& n:\text{자연수}\\\int^\infty_0x^{n-1}e^{-x}\,dx& n:\text{부동소수}\end{cases}$$ x=symbols('x') gamma(x).subs(x,4) $\displaystyle 6$ factorial 계산은 math.factorial()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port math math.factorial(3) 6 a=gamma(x).subs(x,4.5) a.evalf(3) 11.6 simpilfy() 함수의 알고리즘은 식에서 공통사항을 찾아 정리하...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대수 방정식을 해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 함수를 사용합니다. sympy.solvers.solve(f, *symbols, **flags) f=0, 즉 동차방정식에 대해 지정한 변수의 해를 계산 f : 식 또는 함수 symbols: 식의 해를 계산하기 위한 변수, 변수가 하나인 경우는 생략가능(자동으로 인식) flags: 계산 또는 결과의 방식을 지정하기 위한 인수들 dict=True: {x:3, y:1}같이 사전형식, 기본값 = False set=True :{(x,3),(y,1)}같이 집합형식, 기본값 = False ratioal=True : 실수를 유리수로 반환, 기본값 = False positive=True: 해들 중에 양수만을 반환, 기본값 = False 예 $x^2=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식의 한쪽이 0이 되는 형태인 동차식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x^2-1=0$$ import numpy as np from sympy import * x = symbols('x') solve(x**2-1, x) [-1, 1] 위 식은 계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begin{aligned}x^2-1=0 \rightarrow (x+1)(x-1)=0 \\ x=1 \; \text{or}\; -1\end{aligned}$$ 예 $x^4=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의 인수 set=True를 지정하였으므로 결과는 집합(set)형으로 반환됩니다. eq=x**4-1 solve(eq, set=True) ([x], {(-1,), (-I,), (1,), (I,)}) 위의 경우 I는 복소수입니다.즉 위 결과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x^4-1=(x^2+1)(x+1)(x-1)=0 \rightarrow x=\pm \sqrt{-1}, \; \pm 1=\pm i,\; \pm1$$ 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