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구간에서 대상값이 속하는 구간을 나타낼 필요가 있다. 단지 구간을 표시하기 위해 pd.cut()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이 함수는 기준 구간을 별도로 객체화 할 수 없다. 이 경우 다음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pd.Intereval(left, right, closed='right') 이 함수는 left< value <= right 즉, (left, right]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위 결과 중 '(': 개구간(open interval) '[': 폐구간(closed interval) 이 함수의 인수중 closed는 폐구간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으로 그 인수는 다음과 같다. 'left;, ;right', 'both', 'neither'을 선택할 수 있고 기본값은 'right'이다. In [1]: a=np.random.randint(1, 100, 5) 예로 사용할 데이터를 만들기 위해 임의의 수를 추출했다. 그 객체는 코드 [2]와 같다. In [2]: a Out[2]: array([14, 26, 46, 76, 53]) 코드 [2]의 결과를 기준으로 기준이 되는 10개의 구간을 생성하기 위해 각 구간의 값들을 linspace() 함수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 함수는 지정한 구간에 일정한 길이로 지정한 수 만큼을 생성한다. In [3]:a_int=np.linspace(min(a)-1, max(a)+1, 10) In [4]: a_int Out[4]: array([ 13. , 20.11111111, 27.22222222, 34.33333333, 41.44444444, 48.55555556, 55.66666667, 62.77777778, 69.88888889, 77. ]) 위의 결과에 객체 a의 각 원소가 어느 위치에 속하는 가를
python 언어를 적용하여 통계(statistics)와 미적분(Calculus),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pytorch를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