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통계관련 함수와 메서드 사전

A B C d E F G H I K L M N O P Q R S T U V W Z A statsmodels.ap.stats.anova_lm(x) statsmodels.formula.api.ols 에 의해 생성되는 모형 즉, 클래스 인스턴스(x)를 인수로 받아 anova를 실행합니다. np.argsort(x, axis=-1, kind=None) 객체 x를 정렬할 경우 각 값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반환합니다. Axis는 기준 축을 지정하기 위한 매개변수로서 정렬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음(-1은 기본값으로 마지막 축) pandas.Series.autocorr(lag=1) lag에 전달한 지연수에 따른 값들 사이의 자기상관을 계산 B scipy.stats.bernoulli(x, p) 베르누이분포에 관련된 통계량을 계산하기 위한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x: 랜덤변수 p: 단일 시행에서의 확률 scipy.stats.binom(x, n, p) 이항분포에 관련된 통계량을 계산하기 위한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x: 랜덤변수 n: 총 시행횟수 p: 단일 시행에서의 확률 C scipy.stats.chi2.pdf(x, df, loc=0, scale=1) 카이제곱분포의 확률밀도함수를 계산 $$f(x, k) =\frac{1}{2^{\frac{k}{2}−1}Γ(\frac{k}{2})}x^{k−1}\exp\left(−\frac{x^2}{2}\right)$$ x: 확률변수 df: 자유도 pd.concat(objs, axis=0, join=’outer’, …) 두 개이상의 객체를 결합한 새로운 객체를 반환. objs: Series, DataFrame 객체. Axis=0은 행단위 즉, 열 방향으로 결합, Axis=1은 열단위 즉, 행 방향으

torch.nn 클래스와 신경망모형

내용 layer building 비선형과 다중 모델 layer building 선형모델의 layer는 nn.Linear 클래스를 사용하여 구축합니다. nn.Linear에 대한 생성자는 입력 특성의 수(feature #), 출력의 수(label #), 선형 모델에 편향이 포함되는지 여부(여기서 기본값은 True)의 세 가지 인수를 허용합니다. nn.Linear(input_size, output_size, bias=True) True는 default import numpy as np import torch import torch.nn as nn x=torch.rand((3, 1)) x tensor([[0.9445], [0.1129], [0.4799]]) model=nn.Linear(1,1) model(x) tensor([[0.2996], [0.5595], [0.4448]], grad_fn=< AddmmBackward >) 위 코드는 torch.nn 클래스 객체(model)를 생성한 것입니다. 그 모델의 인수로서 입력인자 x를 전달한 과정입니다. 신경망에서 순전파(forward)과정입니다. 일반적으로 클래스는 model.forward(x)와 같이 그 클래스의 메서드를 호출한 후 사용합니다. 그러나 위의 경우는 메소드의 호출 과정이 생략되었습니다. 오히려 메소드의 호출은 에러를 발생합니다. y=model.forard(x) : Error 발생 y=model(x) : Right 이것은 nn 클래스에 포함된 __call__ 특벌메소드에 기인합니다. 이 메소드는 지정된 클래스 객체를 자동으로 호출하게합니다. 생성된 모델의 매개변수(들)은 model.parameters() 클래스를 사용하여 호출할 수 있습니다. 또는 가중치와 편차를 각각 wight , bias 속성을 사용하

재산 늘리기

목차 노후대책은 젊어서부터 준비해야 장기 생활설계의 필요성 투자와 투기는 어떻게 다른가? 재산 늘리기를 위한 기본 준비 부자는 예금만 할까? 수익이 적으나 안전한 예금 고수익 고위험인 증권 예기치 않은 사고 등에 대비한 보험 또 하나의 투자상품, 부동산 재산은 어떻게 늘릴까? 목적을 먼저 생각한 뒤 선택하라 기간을 고려하여 선택하라 안전성·수익성·환금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라 세금을 줄일수 있는지 생각하라 돈 빌리기를 현명하게 활용하라 본 글은 한국은행의 "알기 쉬운 경제이야기" 열두 번째 마당의 모든 내용을 블로그 형식으로 다시 작성한 것입니다. 재산 늘리기 노후대책은 젊어서부터 준비해야 장기 생활설계의 필요성 장기 생활설계는 인생 항로의 항해계획과 같은 것입니다. 목적지까지의 항해계획을 치밀하게 새운 후 출발한다면 암초를 피해 조수와 풍향에 따라 진로를 조정하고, 예기치 않은 악천후에도 적절히 대응하면서 순조롭게 항해를 마칠 수 있을 것입니다.이러한 의미에서 장기 생활설계 는 우리의 경제생활을 '현재는 윤택하며 장래는 불안하지않게'하기 위한 계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시말해 한정된 수입을 현재와 장래의 생활에 어떻게 적절히 배분할 것인지를 사전에 면밀히 검토해 보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고령화되고 있는인구구조와 충분하지 못한 사회보장제도 등을 감안할 때 장기 생활설계 필요성은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습니다. 장래를 대비한다고 해서 쓰고 남은 돈을 맹목적으로 저축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닙니다. 언제 어느 정도의 돈을 쓰기 위해 얼마를 저축하고 또는 빌릴 것이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돈이 이자나 다른 수익을 통하여 스스로 불어나는 속성을 갖고 있는 점을 잘 활용해야 할 것입니다. 은행예금만 하더라도 상품별로 이자가 천차만별입니다. 저축한 돈을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돈이 불어나는 정도가 많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 등을 고려

금융과 신용

목차 금리를 알면 경제가 보인다 금융이란 무엇인가? 금리는 돈을 빌려 쓴(빌려 준) 대가 금리의 여러 종류 금리변동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장단기 금리차는 경기를 반영하나? 왜 금융시장은 다양하게 있을까? 금융시장이란? 단기금융시장 자본시장 금융기관들은 서로 어떻게 다른가? 금융기관의 개념과 역할 은행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보험회사·증권회사·기타금융기관 금융기관의 겸업화 금융감독기구의 역할 신용은 보이지 않는 재산 신용이란 무엇인가? 기업과 국가의 신용 개인의 신용 본 글은 한국은행의 "알기 쉬운 경제이야기" 열한번째 마당의 모든 내용을 블로그 형식으로 다시 작성한 것입니다. 금융과 신용 금리를 알면 경제가 보인 금융이란 무엇인가? 금융 이란 돈을 빌리고 빌려주는 것을 말합니다. 실물거래에서는 상품과 돈이 교환되지만 금융거래에서는 돈과 증권 또는 채무증서가 교환됩니다. 예를 들어 은행에 예금하면 은행은 예금주에게 통장을 내어 줍니다. 이와 같은 금융거래의 결과, 당사자 간에는 금융자산과 금융부채가 발생하게 됩니다. 위에서 예로 든 예금은 고객의 입장에서 보면 금융자산이고, 은행의 입장에서 보면 금융부채입니다. 국민경제 전체로 보면 수입이 지출보다 더 큰 흑자 경제주체가 있는가 하면, 반대로 지출이 수입보다 큰 적자 경제주체도 있습니다. 이렇듯 경제주체 사이에, 즉 흑자 경제주체와 적자 경제주체 사이에 돈이 융통되는 것이 곧 금융입니다. 돈의 융통과 관련된 금융시장과 금융기관 그리고 이들을 운영하는 볍규 등을 포괄하여 금융제도 (financial system)라고 합니다. 금용제도의 중요한 역할은 자금이 남는 부문에서 모자라는 부문으로 원활히 흐르도록 하는데 있습니다. 금융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사회 전체적으로 후생이 감소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돈을 원

Multiple Perception Lyers: Regression

Multiple Perception Lyers: Regression tensorflow.keras를 적용하여 kospi 주가의 회귀모형을 구축합니다. > colab 에서 실행한 코드로 주식자료를 호출하기 위해 다음 패키지 설치가 필요합니다. !pip install -U finance-datareader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StandardScaler from sklearn import metrics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KFold import tensorflow as tf from tensorflow.keras import models, layers import FinanceDataReader as fdr 주가 데이터의 이동평균을 계산하고 원시데이터에 연결하기 위한 함수를 작성합니다. #이동평균을 원시데이터에 연결 def addMa(data, window=[3,5]): for i in window: y=data.rolling(i).mean() y.columns=[f"{j}_{i}" for j in y.columns] data=pd.concat([data, y], axis=1).dropna() return(data) def maDataMake(da, window=[3, 5]): x=addMa(da, window) x1=x.replace(0, method='ffill') x1=x1.replace(np.inf, method='ffill') x1=x1.dropna() return(x1) 주가 자료를 호출합니다. st=pd.Ti

돈이란?

돈은 경제의 혈액 경제생활과 돈 돈의 세 가지 기능 돈은 어떻게 새겨났니? 상품화폐에서 금속화폐로 지폐와 법화제도 돈의 공급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중앙은행은 본원통화를 공급 은행은 예금통화를 창출 부문별로는 민간, 정부, 국외 부문 등을 통해 돈이 공급 본 글은 한국은행의 "알기 쉬운 경제이야기" 열째 마당의 모든 내용을 블로그 형식으로 다시 작성한 것입니다. 돈이란? 돈은 경제의 혈액 경제생활과 돈 오늘날 돈이 없는 경제를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돈은 일상생활을 매개하고 있어 의식주와 같은 생활의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돈만 있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돈이 모든 죄악의 근원이라고까지 생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처럼 돈에 대한 생각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돈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현실입니다. 우리는 적건 많건 매일 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점심을 먹고,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 등에 끊임없이 돈이 들어갑니다. 또한 소득 중에서 쓰고 남은 돈을 자금이 필요한 기업에 빌려 줍니다. 그리고 기업은 빌린 돈으로 공장 건물을 짓거나 신기술을 개발하거나 기타 생산 활동을 위해 필요한 곳에 사용합니다. 이처럼 돈은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면서 경제활동을 원활하게 해 주기 때문에 흔히 인체에 있어 혈액의 역활에 비유됩니다. 돈은 일상생활에서 여러가지 뜻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개인이나 기업이 '돈을 많이 번다'라고 할 때의 돈은 소득이나 매출액을 뜻합니다. 또 '그는 돈이 많다'라고 할 때 돈은 재산이나 부로서 주식, 부동산 등을 포함하여 가지고 있는 순자산을 의미합니다. 돈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상품과 서비스를 구입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몇 가지 형태의 자산 돈 은 사람들이 상품과 서비스를 구입하고 그 대가를 지

Multiclass Classification

내용 Reuters dataset 데이터 준비 신경망 구축 학습과 검정 그리고 추정 이 글은 'Deep Learning with Python'의 3.5절의 내용입니다. 다중 그룹 분류 로이터 뉴스와이어를 46개의 상호 배타적인 주제로 분류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합니다. 클래스가 많기 때문에 이 문제는 다중 클래스 분류의 인스턴스입니다. 각 데이터 포인트는 하나의 범주로만 분류되어야 하기 때문에 문제는 보다 구체적으로 단일 레이블, 다중 클래스 분류의 인스턴스입니다. 각 데이터 포인트가 여러 범주(이 경우 주제)에 속할 수 있는 경우 다중 레이블, 다중 클래스 분류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1986년에 Reuters에서 발행한 짧은 뉴스와 해당 주제의 집합인 Reuters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작업할 것입니다. 이것은 텍스트 분류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간단하고 널리 사용되는 장난감 데이터 세트입니다. 46개의 다른 주제가 있습니다. 일부 주제는 다른 주제보다 더 많이 표시되지만 각 주제에는 교육 세트에 최소 10개의 예가 있습니다. IMDB 및 MNIST와 마찬가지로 Reuters 데이터 세트는 Keras의 일부로 패키지로 제공됩니다.. Reuters dataset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tensorflow as tf from tensorflow.keras.datasets import reuters from tensorflow.keras import models, layers (datr, latr),(date, late)=reuters.load_data(num_words=10000) Downloading data from https://storage.googleapis.com/tensorflow/tf-keras-datasets/reuters.npz 2113536/2110848 [=============

경기변동과 실업

경기 판단은 경제상황에 대한 종합진단 경기는 경제 각 부문의 평균적인 활동상태 경기를 판단하는 잣대? 경기의 연착륙경착륙-경기가 비행기라도 되나? 실업은 왜 생기나? 완전고용은 실업율 0%를 말할까? 실업률은 어떻게 산출하나? 임금상승은 높을수록 좋을까? 임금은 노동생산성, 생계비 등을 감안하여 결정 명목임금과 실질임금 본 글은 한국은행의 "알기 쉬운 경제이야기" 아홉째 마당의 모든 내용을 블로그 형식으로 다시 작성한 것입니다. 경기변동과 실업 경기 판단은 경제상황에 대한 종합진단 경기는 경제 각 부문의 평균적인 활동상태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경기가 좋거나 나쁘다는 말을 자주 합니다. 보통 개별기업 입장에서는 매출이 늘거나 수익성이 나아지면 경기가 좋다고 말합니다. 개인들은 소득이 높아지거나 가지고 있는 주식이나 집의 가격이 오르면 경기가 괜찮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개별 경제주체들이 느끼는 경기는 각자 처한 여건과 판단기준에 따라 서로 크게 다릅니다. 따라서 개별주체들의 경제활동을 가지고 여러 부문과 다양한 산업들로 구성되어 있는 국민경제 차원에서 경기를 판단하기는 곤란합니다. 그러면 왜 경기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가요? 그것은 경기 판단과 예측이 어떤 경제행위를 결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의 하나로서 그 정확성 여부에 따라 미래의 경제적 성과가 매우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계가 부동산이나 주식과 같은 자산의 구입 시기를 결정하거나 기업이 수요를 전망하여 이예 적합한 생산과 시설투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정부가 국민경제의 안정적인 성장이 지속될 수 있도록 경제여건에 알맞은 경제정책을 운용하기 위하여 경기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예측하는 경우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경기란 생산, 소비, 투자, 고용 등 실물부문 활동과 돈의 양, 금리, 주가, 환률 등의 금융부문 활동, 그리고 수출입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