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통계관련 함수와 메서드 사전

A B C d E F G H I K L M N O P Q R S T U V W Z A statsmodels.ap.stats.anova_lm(x) statsmodels.formula.api.ols 에 의해 생성되는 모형 즉, 클래스 인스턴스(x)를 인수로 받아 anova를 실행합니다. np.argsort(x, axis=-1, kind=None) 객체 x를 정렬할 경우 각 값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반환합니다. Axis는 기준 축을 지정하기 위한 매개변수로서 정렬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음(-1은 기본값으로 마지막 축) pandas.Series.autocorr(lag=1) lag에 전달한 지연수에 따른 값들 사이의 자기상관을 계산 B scipy.stats.bernoulli(x, p) 베르누이분포에 관련된 통계량을 계산하기 위한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x: 랜덤변수 p: 단일 시행에서의 확률 scipy.stats.binom(x, n, p) 이항분포에 관련된 통계량을 계산하기 위한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x: 랜덤변수 n: 총 시행횟수 p: 단일 시행에서의 확률 C scipy.stats.chi2.pdf(x, df, loc=0, scale=1) 카이제곱분포의 확률밀도함수를 계산 $$f(x, k) =\frac{1}{2^{\frac{k}{2}−1}Γ(\frac{k}{2})}x^{k−1}\exp\left(−\frac{x^2}{2}\right)$$ x: 확률변수 df: 자유도 pd.concat(objs, axis=0, join=’outer’, …) 두 개이상의 객체를 결합한 새로운 객체를 반환. objs: Series, DataFrame 객체. Axis=0은 행단위 즉, 열 방향으로 결합, Axis=1은 열단위 즉, 행 방향으

선형독립과 선형종속

내용

선형 독립과 선형 종속

$\mathbb{R}$ 공간의 벡터들$(v_1, v_2, \cdots, v_p) $와 스칼라$(c_1, c_2,\cdots, c_p)$의 동차 선형 결합은 식 1과 같이 행렬 방정식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begin{align}\tag{1} \begin{matrix}c_1v_1 + c_2v_2 + \cdots + c_pv_p= 0\\\Downarrow \\\begin{matrix}\begin{bmatrix}v_{11}& v_{12}& \cdots&v_{1p}\\ v_{21}& v_{22}& \cdots &v_{2p}\\ \vdots &\vdots &\ddots & \vdots \\v_{n1}& v_{n2}& \cdots &v_{np} \end{bmatrix} \begin{bmatrix}c_1\\c_2\\ \vdots \\c_p \end{bmatrix}=\begin{bmatrix}0\\0\\\vdots \\0 \end{bmatrix} \end{matrix} \end{matrix} \end{align}$$

동차 선형 결합이 자명한 해(trivial solution)를 갖는다면 선형 독립(linear independent)라고 하고 위 식을 만족시키기 위한 자명하지 않은 해(nontrivial solution)을 갖는다면 선형 종속(linear dependent)이라고 합니다.

예)
  다음시스템의 선형 독립성을 결정합니다. $$\begin{aligned} &x_1 + 4x_2 + 2x_3 = 0\\ &2x_1 + 5x_2 + x_3 = 0\\ &3x_1 + 6x_2 = 0 \end{aligned}$$

import numpy as np
import numpy.linalg as la
import sympy as s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v1=np.array([[1],[2],[3]])
v2=np.array([[4],[5],[6]])
v3=np.array([[2],[1],[0]])
A=np.hstack([v1,v2,v3])
A
array([[1, 4, 2],
           [2, 5, 1],
           [3, 6, 0]])
np.round(la.det(A), 4)
-0.0

행렬 A는 3×3 정방 행렬이므로 행렬식을 계산할 수 있지만 그 결과는 0이므로 역행렬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는 고유한 해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기약행사다리꼴(rref)을 적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b=np.array([[0],[0],[0]])
au=np.hstack([A, b]); au
array([[1, 4, 2, 0],
           [2, 5, 1, 0],
           [3, 6, 0, 0]])
sp.Matrix(au).rref()[0]
$\color{navy}{\left[\begin{matrix}1 & 0 & -2 & 0\\0 & 1 & 1 & 0\\0 & 0 & 0 & 0\end{matrix}\right]}$

위 결과에 의하면 2개의 선도 변수와 1개의 자유 변수가 존재합니다. 즉,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x1 = 2x3, x2 = -x3

위 시스템은 변수 x3에 따라 다양한 해를 가질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자명하지 않은 해를 가지므로 선형 종속입니다.

예)
 행렬 B의 선형 독립 여부를 결정하여 봅니다.

$$B=\left[\begin{matrix}0 & 1 & 4\\1 & 2 & -1\\5 & 8 & 0\end{matrix}\right]$$

행렬 B는 정방 행렬이므로 가역행렬이라면 함수 np.linalge.solve()에 의해 해집합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B=np.array([[0,1,4],[1,2,-1],[5,8,0]]);B 
array([[ 0,  1,  4],
           [ 1,  2, -1],
           [ 5,  8,  0]])
round(la.det(B), 3)
-13.0
c=np.array([0,0,0]).reshape(-1,1); c
array([[0],
           [0],
           [0]])
la.solve(B, c)
array([[ 0.],
           [ 0.],
           [-0.]])

행렬 B의 행렬식은 0이 아닙니다. 이 결과는 B의 역행렬이 존재하며 그 행렬에 의한 선형 결합의 유일해가 존재함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그 선형 결합의 확대 행렬(augment matrix)에 대한 rref에서 자유 변수가 없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결론적으로 위 행렬의 경우는 선형 독립입니다.

Bc=np.hstack([B, c]);Bc
array([[ 0,  1,  4,  0],
           [ 1,  2, -1,  0],
           [ 5,  8,  0,  0]])
sp.Matrix(Bc).rref()
(Matrix([
     [1, 0, 0, 0],
     [0, 1, 0, 0],
     [0, 0, 1, 0]]),
     (0, 1, 2))

정방 행렬 차원의 표준 행렬에 의한 선형 시스템은 미지수의 수와 식의 수가 동일합니다. 이러한 조건에서 표준 행렬의 역행렬의 존재 여부로 그 시스템의 독립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위 예들의 결과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가역적 그리고 독립
표준행렬이 정방행렬이고 가역적이면 다음과 동치입니다.
≡자명한 해(trivial solution)
≡선형 독립

예)
 다음 선형 시스템의 경우는 식의 수가 변수의 수보다 많은 상태로서 표준 행렬이 정방 행렬이 아닌 경우입니다. 선형 독립 여부를 결정하여봅니다.

$$\begin{align} &-3x_2 + 9x_3 = 0\\ &2x_1 + x_2 - 7x_3 = 0\\ &-x_1 + 4x_2 - 5x_3 = 0\\ &x_1 - 4x_2 + 2x_3 = 0 \end{align}$$
v1=np.array([[0],[2],[-1], [1]])
v2=np.array([[-3],[1],[4],[-4]])
v3=np.array([[9],[-7],[-5],[2]])
c=np.zeros([4,1])
V=np.hstack([v1,v2,v3]); V
array([[ 0, -3,  9],
           [ 2,  1, -7],
           [-1,  4, -5],
           [ 1, -4,  2]])
au=np.hstack([V, c])
sp.Matrix(au).rref()
(Matrix([
     [1, 0, 0, 0],
     [0, 1, 0, 0],
     [0, 0, 1, 0],
     [0, 0, 0, 0]]),
     (0, 1, 2))

위 결과에 의하면 선도변수가 3로서 위 식들의 변수의 수와 같습니다. 즉, 변수 x1, x2, x3의 해는 모두 0의 경우만 존재합니다. 즉, 자명한 해를 가지므로 선형독립입니다.

예)
 다음 예는 변수의 수가 식의 수보다 많은 경우 입니다. 선형 독립 여부를 결정하여봅니다.

$$\begin{align}  &x_1 + 4x_2 - 3x_3 = 0\\ &-2x_1 - 7x_2 + 5x_3 + x_4 = 0\\ &-4x_1 - 5x_2 + 7x_3 + 5x_4 = 0 \end{align}$$
v1=np.array([[1],[-2],[-4]])
v2=np.array([[4],[-7],[-5]])
v3=np.array([[-3],[5],[7]])
v4=np.array([[0],[1],[5]])
c=np.zeros([3,1])
V=np.hstack([v1,v2,v3,v4]); V
array([[ 1,  4, -3,  0],
           [-2, -7,  5,  1],
           [-4, -5,  7,  5]])
au=np.hstack([V, c])
sp.Matrix(au).rref()[0]
$\color{navy}{\left[\begin{matrix}1 & 0 & 0 & -3.0 & 0\\0 & 1 & 0 & 0 & 0\\0 & 0 & 1 & -1.0 & 0\end{matrix}\right]}$

위 결과와 같이 확대행렬의 기약행사다리꼴에서 1개의 자유변수(x4)가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나머지 변수는 그 자유변수 값에 따라 결정되어집니다. 즉,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행렬 V에 대응되는 변수 벡터 x는 다음과 같이 4×1의 형태이어야 합니다.
x1 = x4, x2 = 0, x3 = x4

결론적으로 자명하지 않은 해(nontrivial solution)가 존재하므로 선형 종속 관계에 있습니다.

위 결과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습니다.

선형 독립과 종속
행의 수 > 열의 수 ∩ 변수 벡터의 요소수(미지수의 수) = 열의 수
→ 자명한 해를 가집니다.
→ 선형 독립
행의 수 < 열의 수 ∩ 식의 수 < 미지수의 수
→ 자명하지 않은 해를 가집니다.
→ 선형 종속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유사변환과 대각화

내용 유사변환 유사행렬의 특성 대각화(Diagonalization) 유사변환(Similarity transformation) 유사변환 n×n 차원의 정방 행렬 A, B 그리고 가역 행렬 P 사이에 식 1의 관계가 성립하면 행렬 A와 B는 유사하다고 하며 이 변환을 유사 변환 (similarity transformation)이라고 합니다. $$\begin{equation}\tag{1} A = PBP^{-1} \Leftrightarrow P^{-1}AP = B \end{equation}$$ 식 1의 유사 변환은 다음과 같이 고유값을 적용하여 특성 방정식 형태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begin{align} B - \lambda I &= P^{-1}AP – \lambda P^{-1}P\\ &= P^{-1}(AP – \lambda P)\\ &= P^{-1}(A - \lambda I)P \end{align}$$ 위 식의 행렬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begin{align} &\begin{aligned}\textsf{det}(B - \lambda I ) & = \textsf{det}(P^{-1}(AP – \lambda P))\\ &= \textsf{det}(P^{-1}) \textsf{det}((A – \lambda I)) \textsf{det}(P)\\ &= \textsf{det}(P^{-1}) \textsf{det}(P) \textsf{det}((A – \lambda I))\\ &= \textsf{det}(A – \lambda I)\end{aligned}\\ &\begin{aligned}\because \; \textsf{det}(P^{-1}) \textsf{det}(P) &= \textsf{det}(P^{-1}P)\\ &= \t

matplotlib의 그래프 종류

1. 산포도(scatter plot) plt.scatter(x, y) >>>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import numpy as np >>> data=np.random.rand(1024, 2) >>> data[:3, :] >>> plt.scatter(data[:,0], data[:,1]) >>> plt.show() 2. 막대그래프(bar chart) plt.bar(x, hight, width, align='center') 매개변수중 width에 인수를 전달하여 막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align의 인수는 'center'와 'edge' 이다. 기본값은 'center'이다. 이 값은 x축의 레이블이 막대의 중간에 위치(center) 또는 왼쪽 가장자리에 위치(edge)시킨다. 코드에서 np.random.randint 는 특정한 범위내에서 지정한 갯수의 랜덤수를 생성 np.unique(배열, retrun_counts=False, axis=None) : 객체 내의 중복되지 않은 수들을 반환한다. return_counts=True이면 각 수에 대한 빈도수를 반환한다. axis를 통해 행(1), 열(0)을 선택한다. >>> x=np.random.randint(1, 6, size=100) >>> uni,count=np.unique(x, return_counts=True) >>> uni array([1, 2, 3, 4, 5]) >>> count array([25, 17, 23, 16, 19], dtype=int64) >>> plt.bar(uni, count) >>> plt.show() 위의 막대그래프의 막대의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sympy.solvers로 방정식해 구하기 대수 방정식을 해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 함수를 사용합니다. sympy.solvers.solve(f, *symbols, **flags) f=0, 즉 동차방정식에 대해 지정한 변수의 해를 계산 f : 식 또는 함수 symbols: 식의 해를 계산하기 위한 변수, 변수가 하나인 경우는 생략가능(자동으로 인식) flags: 계산 또는 결과의 방식을 지정하기 위한 인수들 dict=True: {x:3, y:1}같이 사전형식, 기본값 = False set=True :{(x,3),(y,1)}같이 집합형식, 기본값 = False ratioal=True : 실수를 유리수로 반환, 기본값 = False positive=True: 해들 중에 양수만을 반환, 기본값 = False 예 $x^2=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식의 한쪽이 0이 되는 형태인 동차식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x^2-1=0$$ import numpy as np from sympy import * x = symbols('x') solve(x**2-1, x) [-1, 1] 위 식은 계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begin{aligned}x^2-1=0 \rightarrow (x+1)(x-1)=0 \\ x=1 \; \text{or}\; -1\end{aligned}$$ 예 $x^4=1$의 해를 결정합니다. solve() 함수의 인수 set=True를 지정하였으므로 결과는 집합(set)형으로 반환됩니다. eq=x**4-1 solve(eq, set=True) ([x], {(-1,), (-I,), (1,), (I,)}) 위의 경우 I는 복소수입니다.즉 위 결과의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x^4-1=(x^2+1)(x+1)(x-1)=0 \rightarrow x=\pm \sqrt{-1}, \; \pm 1=\pm i,\; \pm1$$ 실수